탄소배출·흡수량 산정방법론 : 수송

  • Home
  • 탄소공간지도란
  • 탄소배출·흡수량 산정방법론 : 수송
이전

수송

탄소공간지도 수송부분 배출량 산정방법론
전국 도로구간 차종별(승용, 버스, 화물) 추정교통량 기반 차량주행거리(VKT)와 속도자료를 활동자료로 하고, 승인 국가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배출량 산정(Tier 3)

수송부문 탄소배출량 산정방법

CO2 = Σ(length × volume × NORa,b × EFa,b)
  • length : 네트워크 Level 6 (왕복 2차로 이상) 링크 길이(km)
  • volume : 차량(a)별 추정 교통량
  • NORa,b,c : 차량(a)별 해당 규모 및 연료(b)별 한국교통안전공단 주행거리반 세부차량 점유율
  • EFa,b : 차량(a)별 규모 및 연료(b)별 승인 국가 온실가스 배출·흡수 계수(21년)

수송부문 탄소배출량 산정방법

수송부문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
				     데이터 및 배출량 구축 프로세스
				     전국 상세도로망 네트워크(왕복 2+차선)기반 융합 데이터 구축
				     상세도로망 shp 파일 (도로 단위 line shape, 전국 11만 km(왕복 2차로 이상))
				     상세도로망 도로단위 추정교통량 (차종별 추정교통량(승용, 버스, 화물))
				     도로단위 속도 빈도 분포 적용
				     승인 국가 온실가스배출계수 기준 배출원 세분화 프로세스
				     차종별 등록현황, 연료별 등록현황 -> 세부분류(차종/규모/연료)별 점유율 데이터 구축->
				     차종별 추정 교통량, 차종별 속도 빈도분포 + 승인 국가 온실가스 배출 계수 + 차종/규모/연료별 점유율
				     -> 상세도로망 기반 수송부문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