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흡수량 산정방법론 : 건물

  • Home
  • 탄소공간지도란
  • 탄소배출·흡수량 산정방법론 : 건물
이전

건물

탄소공간지도 건물 배출·흡수량 산정방법론
연료 연소를 통한 직접 배출(LPG, LNG 등)과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 또는 열을 사용하는 간접배출(전기, 지역난방)로 분류 산정 (Tier1)

건물부문 탄소배출량 산정방법

전력

전력배출량 = 전력사용량 × 전력간접배출계수(사용단)
  • 전력 배출량 : 전력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tCO₂eq/yr]
  • 전력 사용량 : 부문별 전력 사용량[kWh/yr]
  • 전력 배출량 : 전력 간접배출계수(사용단) : 466x10−6[tCO₂eq./kWh]

가스

Emissions = ∑(Fueli × EFi)
  • Emissions : 배출량[tCO₂eq./yr]
  • Fuel : 연료(i)의 에너지양[TJ/yr]
  • EF : 연료의 배출계수[tCO₂eq./TJ]

지역난방

열배출량 = ∑열사용량 × 열간접배출계수
  • 열 배출량 : 열 사용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tCO₂eq./yr],
  • 열 사용량 : 부문별 열 사용량[Gcal/yr],
  • 열 간접배출계수 : 0.1226[tCO₂eq./Gcal]

건물부문 탄소배출량 산정방법

한국부동산원DB(전기·가스·난방)와 행정구역, 토지이용구분, 격자 단위 공간정보 결합으로 건물부문 탄소공간지도를 구축
				     국가교통부 및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공간정보,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수집 에너지 사용량 기반 탄소공간지도 구축
				     전국 단위 격자정보,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수집(격자정보 및 월별·연도별 에너지 사용량 자료 수집)->
				     격자정보와 건물 에너지 매핑(격자 크기 융합데이터 셋 구축)->
				     월별·연도별 탄소배출 및 흡수량 데이터 구축(에너지 사용량 기반의 탄소배출 및 흡수량 데이터 구축)->
				     탄소공ㄱ나지도 구축(격자단위 탄소공간지도)